반응형

2024년 3월 31일 나온 논문입니다.

진주에 위치한 경상 국립대 의대 병원에서 젠타마이신 주사가 효과가 없는 환자의 메니에르 증상을 치료한 케이스 리포트입니다.

환자는 44세의 여성이며 지난 15 동안 어지럼증과 난청으로 고생해왔다고 합니다. 오른쪽 귀에 나타난 증상으로 어택은 12시간 이상 지속될 때도 있고, 난청과 귀먹먹이 동시에 나타났다고 합니다.

처음에 이뇨제와 베타히스틴 처방을 받았지만 어지럼증은 나아지지 않았고, 고막주사를 스테로이드 2, 젠타마이신 4 일주일에 한번씩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증상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환자는 한쪽 청력을 희생하더라도 어지럼증에 대한 확실한 처치를 희망하였기 때문에 내시경 미로절제술과 젠타마이신 주입을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환자는 이틀 퇴원하였고, 어지럼증은 완치되었으며 1년반 후의 추적조사에서 청력은 소실되었지만 어지럼증 어택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고 결과에 대해 만족했습니다.

출처: https://www.jcohns.org/archive/view_article?pid=jcohns-35-1-18

 

J Cl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A Case of Endoscopic Chemical Labyrinthectomy with Gentamicin Irrigation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of Meniere’s disease include vertigo, hearing loss, tinnitus, and fullness in the affected ear, and about 10% of the patients with Meniere’s disease suffer from uncontrolled vertigo attacks even after conservative thera

www.jcohns.org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2024년 4월 11일 나온 논문입니다.

메니에르병의 증상 특히 어지럼증으로 고생하시는 분들 중 약물적인 증상 완화가 불가능하고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이 있을 경우에 수술적 치료방법을 택하기도 합니다.

메니에르병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하나가 내림프낭 감압술인데 대체적으로 예후는 좋은 편이지만 가끔 환자에 따라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탈리아에서 이렇게 내림프낭 감압술이 실패한 환자들에게 후미로 접근법을 이용한 선택적 전정신경 절단술을 시행하고 결과를 보고 하였습니다. 신경을 찾는 방법이 어렵고 복잡하지만 개두술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며 유모세포와 안면신경을 건드리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2019년에서 2023년까지 23명의 환자가 이러한 방법으로 시술을 받았으며 수술 2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90% 이상이 어지럼증이 완치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https://doi.org/10.3390/brainsci14040369

수술 전(preop)과 수술 후(postop)의 어지럼증 정도 비교
수술 전(preop)과 수술 12개월 후(postop)의 어지럼증 정도 비교

앞서 1999년에는 세브란스 병원에서도 같은 수술을 환자들의 경과를 보고한 한글 논문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14명의 환자 12명이 어지럼증이 나아졌으며 3명은 이명이 없어졌고 1명은 청력이 다소 호전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https://www.ejao.org/upload/pdf/0201999012.pdf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2024년 4월에 나온 논문입니다.

달팽이관의 혈류저하는 어지럼증, 귀먹먹, 이명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메니에르병의 원인 하나로 주장되기도 합니다.

이탈리아에서 피크노제놀이라는 약이 달팽이관 혈류저하에 효과가 있는지 임상 실험한 논문이 나왔습니다.

피크노제놀은 해안에 서식하는 소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영양 보충제로써 강력한 항산화물질이라고 하며 여러곳에서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쉽게 구입하실 있습니다.

달팽이관 혈류저하 증상이 있어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61 32명을 3개월간 매일 100mg 피크노제놀을 복용시키고 나머지 29명은 아무것도 복용하지 않았는데, 피크노제놀을 복용한 그룹에서 확연하게 어지럼증 증상이 개선되고 청력 저하 이명이 감소되었으며, 어택의 빈도 또한 감소되었다고 합니다.

3개월 후에 복용하지 않은 그룹의 20% 완치된 반면에 피크노제놀을 복용한 그룹의 60% 완치되었다고 합니다. 보통 이비인후과에서 은행 추출물을 혈류 개선약으로 많이 처방해주는데, 피크노제놀도 혈류 개선을 도와주고 증상을 완화 시킬 있는 한가지 방법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https://www.minervamedica.it/en/journals/Otorhinolaryngology/article.php?cod=R27Y2024N01A0018

 

Pycnogenol® improves cochlear-vestibular microcirculatory dysfunction, and associated symptoms - Otorhinolaryngology 2024 March

Pycnogenol® improves cochlear-vestibular microcirculatory dysfunction, and associated symptoms

www.minervamedica.it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2024년 3월 9일에 나온 논문입니다

부항(Cupping Therapy)는 중동 및 아프리카 등에서 전해내려오는 고대 치료법 중에 하나로, 현재도 이 지역과 영국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요).

54세의 남성이 메니에르병으로 오랜기간 고통받다 이 Cupping therapy를 시작했는데 메니에르병을 완치한 케이스가 논문으로 나왔습니다. 이 환자의 어지럼증은 1999년부터 시작하였으며 처음에는 어택이 9개월에 한번씩 있다가 점차 증세가 심해져 어택이 매일 오는 정도였습니다. 어택을 유발하는 환경은 공복, 강풍, 더위 등이 있었으며 청력은 왼쪽 귀의 저음영역이 조금 낮아진 상태였습니다. 또한 난청이 온 귀는 이명도 동반하였고, 어택이 심할 때에는 기절을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메니에르로 진단받고 나서 저염식을 하고 카페인을 끊었지만 효과는 전혀 없었으며 스테로이드와 베타히스틴 등 처방받은 약물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미로 절제술을 고려하였지만, 청력 손실 등의 부작용으로 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이 환자는 결국 대체의학을 찾게 되었고, Cupping Therapy를 한달에 한번, 증상이 심할 때는 두번씩 2년간 받았습니다. Cupping therapy를 받은 위치는 아래의 그림과 같으며, 치료를 위하여 시술 부위의 머리카락은 면도를 했다고 합니다. 

치료를 받은 2년간 증상이 조금씩 완화되었으며, 2 후에는 어지럼증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합니다. 또한, 14 메니에르병이 재발하지 않았다 합니다.

출처: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002707/

 

Cupping Therapy as a Potential Complimentary Treatment for Meniere's Disease: A Case Report

Meniere's disease is defined by the presence of three essential symptoms: episodic vertigo, tinnitus,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e mainstay of its management constitutes lifestyle modification and medical and surgical therapies. Cupping therapy ...

www.ncbi.nlm.nih.gov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2024년 3월 14일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특발성 외림프누공(idiopathic perilymphatic fistula)은 귀먹먹, 돌발성 난청,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여 메니에르병과 증상이 아주 유사하지만 그 원인은 중이와 내이를 구분하는 막이 찢어져서 내림프액이 중이 안으로 유출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내이 질환 환자의 5% 정도로 드문 병이지만 증상이 다른 병과 유사하여 임상적으로 진단이 아주 힘들어서 올바른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병이기도 합니다.

 

 

 

이를 위해 고막 내시경을 넣어서 직접 찢어진 부분을 관찰하기도 하지만, cohilin-tomoprotein detection test(CTP테스트)라는 림프액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 수치를 검사하여서 외림프누공을 정확하게 진단합니다.

이번에 일본에서 다섯명의 외림프누공을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한 경과를 발표한 논문이 나왔습니다.

이 다섯명의 환자는 돌발성 난청, 어지럼증 및 귀먹먹으로 병원에 내원했지만 스테로이드 고막주사에 전혀 반응이 없었고 결국 CTP 테스트를 하여서 외림프 누공으로 진단받습니다. 그 후 고막 내시경을 통해 내이막의 찢어진 부분을 재건 및 봉합하는 수술을 하였습니다. 다섯명의 수술 환자 중, 두명만이 청력이 조금 회복되었으며, 두명의 환자는 어지럼증이 완치되었다고 합니다.

수술의 성공률은 그리 높지 않지만, 메니에르병과 아주 유사한 증상을 가진 내림프 누공을 소개하고 그 진단법 및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메니에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분들도 원인과 기전이 전혀 다른 병은 아닌지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올바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출처: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neurology/articles/10.3389/fneur.2024.1376949/abstract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