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2023. 2. 16. 00:35
반응형

아마존 e북 전용 기기인 킨들입니다. 내구성이나 가성비, 배터리 시간 등으로 전자잉크 e리더기 중에는 따라올 제품이 없을 정도로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점은 아마존 e북만 구매가 가능한 폐쇄성.

암튼 2022년 말에 이제까지 나온 시리즈 중 가장 큰 10인치 킨들이 나왔습니다. 무려 스타일러스를 포함해서 읽기와 쓰기가 함께 되는 기기로요.
출시 때 부터 눈독들이고 있다가 셀프 생일 선물로 구매해버렸습니다.

가장 비싼 모델인 64기가+프리미엄펜은 정가 420불이지만 킨들 트레이드인 이용하면 20퍼센트 할인이라 340불 정도에 구매.

상자 안에는 별거 없어요 킨들 본체랑 밑에 여분 펜 팁+충전케이블. 케이블만 주고 콘센트는 주지 않아요.
가운데 보이는 파란 hello 적힌 카드가 사용 설명서지만. 다른 킨들이랑 똑같이 셋업하면 됩니다.

스타일러스는 아이패드 프로에 애플펜슬 붙듯이 자석으로 옆에 착 붙습니다.

전원을 켜 봅니다.

언어 선택 화면. 한글은 없어요. 한국에도 어서 아마존이 들어오면 좋겠지만 그럴리는 없겠죠 ㅠ

뒷면입니다. 기존 킨들은 좀 튼튼한 플라스틱인데 이건 알루미늄 같은 그런 금속 재질입니다. 그래서 오히려 지문도 잘 묻고 케이스가 필요한 느낌

업데이트 중!

노트를 열어서 직접 써봤습니다. 필기감이 상당히 좋아요.
전자잉크에서 느껴지는 랙도 없고 종이에 쓰는 것과 비슷한 필기감입니다.
애플펜슬2보다 더 필기감이 좋아서 놀랐습니다.

원래 가지고 있던 킨들 페이퍼화이트와 크기비교.

지금 읽고있는 책은 댄브라운의 오리진. 최신작 좀 내주세면 안되나요 ㅠㅠ

아, 킨들도 미국에 계시면 전자도서관 이용이 가능합니다. 동네 도서관에 회원으로 가입하셔서 회원카드 정보를 Libby 라는 앱에 깔면 전자책 대여가 가능한데요, 그걸 아마존 계정과 연동시키면 대여와 동시에 킨들로 책을 보낼 수 있어요!

사실 논문 보려고 샀어요. 하이라이트도 괜찮고 논문 보는데 맘에 들어요. 그리고 send to kindle이라고 웹에서 파일 넣으면 몇분 후에 킨들에 뜹니다. 간편하긴 한데 아이패드처럼 바로 검색해서 노타빌리티로 열어보고 이런 건 안돼니까 시간이 좀 더 걸립니다.

전체적으로 조금 무겁고 크지만 그만큼 가독성은 좋습니다. 가볍게 주머니에 넣어다녔던 페이퍼화이트에 비해서는 좀 조심히 다루어야 하는 느낌이에요.
필기감은 아주 괜찮은데 펜이 옆에 붙어있어서 독서할 때는 거추장스럽습니다. 결국 케이스가 필요한 것 같아요.
더 써봐야 알겠지만 전반적으로 만족합니다.

728x90
반응형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황  (1) 2012.12.06
미국으로 복귀~  (0) 2012.06.09
시립도서관에는 흥미로운 책들이 많군요.  (0) 2012.05.11
한국 도서관에 왔습니다.  (0) 2012.05.10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싱글셀 시퀀싱, scRNA-Seq 분석을 하다보면 가장 험난하고 어려운 단계가 각각 클러스터의 세포 종류를 지정하는 cell type annotation 인 것 같습니다. 저도 분석을 하면서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 봤는데, 그 기록을 남깁니다.

1. Seurat FindMarkers

Seurat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메소드인 FindAllMarkers를 이용하면 각각 클러스터에서 어떠한 유전자가 많이 발현되는 지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을 이용하여 클러스터에서 마커들을 찾고 데이터베이스 혹은 논문에 비교해봅니다.

장점: 간단하다.

단점: 수동 비교 및 결정이라 시간이 오래 걸리고 헷갈릴 때가 많다

Seurat tutorial에서 제공하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를 실행시키면,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다른 세포들보다 과발현된 유전자들을 정리해줍니다. 저는 주로 이 결과를 csv로 정리해서 엑셀로 열어본 다음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에 넣어보기도 하고, 논문을 찾아보기도 합니다.

주로 찾아보는 데이터베이스:

a. PanglaoDB: 싱글셀 데이터가 방대하게 모아져있으며 유전자를 넣으면 그 유전자가 어느 세포에서 얼마나 발현되는지 알려줍니다.

https://panglaodb.se/index.html

그리고 각 세포 종류마다 마커들을 모아놓은 페이지도 있습니다. 한가지 단점은 유전자를 하나하나 찾아보고 정리해야 한다는게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b. Single Cell Portal: 싱글셀 데이터를 모아 놓은 Broad Institute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https://singlecell.broadinstitute.org/single_cell

이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은 여러가지 마커들이 앞의 FindAllMarkers로 나올 때에 한번에 입력하여 DotPlot으로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아주 편리하고 강력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세포 종류의 resolution이 그리 높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B cell 중에서도 Memory B cell인지, Naive B cell인지 구분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그렇게까지 구분은 해주질 않습니다.

c. 그외 논문이나 사이트: 특정한 세포의 subtype들을 구분하고 싶을 때에는 논문을 서치하는 게 빠를 수도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데이터베이스는 아니지만 저에게 유용한 사이트가 아래에 있습니다.

https://www.biocompare.com/Editorial-Articles/576304-A-Guide-to-NK-Cell-Markers/

Biocompare라는 사이트인데 거기서 올린 글에 유용한 정보가 많이 있을 때가 있습니다. 위의 링크는 NK 세포의 subtype에 관한 글이고 그 외에 T cells, B cells 에 관련한 글도 이 사이트에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2. SingleR

싱글알은 많은 연구자들이 쓰시는 Annotation 도구입니다. Bioconductor로 설치 가능하며, Seurat 오브젝트와 직접적인 호환은 되지 않지만, SingleCellExperiment로 변환하여서 간편히 실행할 수 있습니다.

https://bioconductor.org/packages/release/bioc/html/SingleR.html

아래는 제가 직접 쓰는 예제 코드입니다.

레퍼런스는 celldex 레퍼런스를 쓰고 있으며, 본인의 데이터 종류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레퍼런스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Mouse 싱글셀 시퀀싱 데이터를 분석 중인데 가장 간편한 방법이 SingleR이었습니다.

SingleR을 실행시킨 다음, 결과를 heatmap으로 그려볼 수 있습니다.

Heatmap 결과가 위와 같이 나오는 데 이걸 Annotation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간편하고 실행 속도가 빠른 편이며 레퍼런스가 다양하다는 것이지만, 단점은 위와 보시다시피 정확한 세포 종류를 못 잡아내는 경우가 있으며, 서로 다른 클러스터가 수치 상으로는 같은 세포 종류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때때로 정말 이상한 결과가 나올 때도 있으니까 수동작업이 항상 필요합니다.

3. Azimuth

Azimuth는 NIH Human Biomolecular Atlas Project의 일환으로 개발된 cell type annotation 도구입니다.

https://azimuth.hubmapconsortium.org/

여러가지 레퍼런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가 웹에서 구동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데이터를 업로드해서 계산해줍니다. 그만큼 Computing resource가 많이 들기도 하는데, 저는 주로 데이터 용량이 매우 큰 관계로 설치를 하여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장점은 위에서 언급한 것에 추가하여, 실행이 간편하며 특히 Seurat 패키지와 완벽하게 호환됩니다.

단점은 레퍼런스를 여러가지 제공하고 있긴 하지만 웹에서는 제공된 레퍼런스만 사용이 가능하며, 설치버전도 레퍼런스 만들기가 조금 복잡합니다. 또한 계산을 하면 UMAP이 나오는데 이게 좀 안맞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수동으로 하나하나 확인해주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Azimuth를 돌린 결과 UMAP입니다. 아, 그리고 때때로 이게 Seurat에서 작동하다보니 Azimuth를 돌리고 나면 내 원래 데이터를 건드릴 때도 있고, 나는 seurat_clusters에 나온대로 21개의 세포 종류로 annotation하고 싶은데 Azimuth는 resolution이 다를 때가 있습니다 (제가 잘 못하고 있는 거일 수도 있습니다.)

아, 그리고 설치버전은 좀 무거워서 데이터가 좀 큰 경우에 로컬머신에서 돌리기 버거울 수가 있습니다. 저는 주로 HPC 환경에서 돌리고 있습니다.

4. Reference Mapping

이건 딱히 적을 필요가 있나 싶은데 Seurat 패키지 자체에서도 Reference mapping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satijalab.org/seurat/articles/multimodal_reference_mapping.html

특히 자주 나오는 조직이나 샘플을 분석 중이라면 이 레퍼런스 맵핑이 유용하게 쓰입니다. 작동하는 방법은 Azimuth와 아주 비슷합니다. 그리고 결과도 Azimuth와 비슷한데, 가끔 Annotation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참고용으로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쓰는 코드입니다:

Reference Mapping한 결과물입니다.

결론:

음.... 제가 싱글셀 분석을 하면서 가장 많은 시간을 쏟는 파트이자 가장 어려워하는 파트가 이 Cell type annotation인 것 같습니다. DEG나 clustering 처럼 딱 정답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레퍼런스에 따라 비교 방법에 따라 결과도 상이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고 더군다나 마지막에는 결국 내가 결정해야하는 거구나 하고 결정해버리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자동으로 해주는 Azimuth나 Reference mapping이 있긴 하지만, 그걸 맹목적으로 믿기에는 결과가 이상하게 나올 때가 많습니다 (위의 UMAP처럼요).

그래서 결국에는 어떤 방법을 쓰더라도 꼭 하나이상을 쓴 다음 그걸 수동으로 확인해서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분석하고 있는 샘플의 특성을 잘 알고 각각 cell type의 특성이 어떤 것인지 잘 이해하고 있으면 더욱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
반응형

#메니에르병 관련 논문이 올라오면 저에게 알림이 옵니다. 그 중에서 단순한 증상보고나 관찰 결과를 제외한 실질적으로 환자 입장에서 도움이 될 만한 글들을 2021년 말부터 정리해오고 있습니다. 혹시나 도움이 될까 정리한 글들을 공유합니다.
*이 포스트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가장 마지막 업데이트는 2022년 11월 21일입니다.
*이제부터 메니에르병의 흔한 증상 중 하나인 이명에 관한 논문도 흥미로운 것이 나오면 적어보려고 합니다.
*정리한 글들은 다음의 공간에도 업로드됩니다: 함께 메니에르를 이겨내는 곳: https://open.kakao.com/o/gLIE20pe

오픈 유어 이어즈👂👂🦻

#메니에르 #돌발성 난청 #이명 #난청 #귀먹먹 #어지러움 #청력 #청각

open.kakao.com


 


 

2022/11/18

미국의 한 의사가 청각 과민과 이명에 쓰인 소리치료에 관하여 이제까지 논문으로 나온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정리해본 결과, 소리치료는 확실히 이명 및 청각과민에 효과가 있었습니다. 특히, 소리치료는 청각과민 환자에게서 더 큰 신경학적 병리학적 효과를 보였고, 장기적으로 효과가 분명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https://pubs.asha.org/doi/pdf/10.1044/2022_AJA-22-00127

 

2022/11/15

중국에서 이명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인지 치료를 병행한 소리치료를, 다른 그룹은 스테로이드와 국소마취제가 포함된 고막주사를 놓고 이명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두 그룹 다 이명이 감소하긴 하였지만, 고막주사의 경우는 그 정도가 미미하였고, 소리치료는 이명의 정도와 불안증 및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데 더 나은 효과가 있었습니다.

https://www.authorea.com/doi/full/10.22541/au.166852598.88714878

 

2023/2/1

중국의 연구진이 이명과 자살 시도의 연관관계를 내년 2월에 밝혀낼 예정이라고 합니다. 논문 출판일이 2023년 2월로 되어있네요. 뭐 중국이니까. 의료보험에 등록된 39만명을 조사해봤더니, 이명이 있는 사람의 자살시도는 0.25%, 즉 만명당 25명으로 이명이 없는 사람의 빈도인 만명당 12명보다 두배 이상 높다고 합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5032722012563

 

2022/11/11

중국의 연구진이 42명의 메니에르 환자들에게 장기간 약물 치료를 하며 추적 관찰한 결과, 메니에르 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던 내림프수종 (Endolyphatic hydrops; 중이의 림프낭의 압력이 높아지는 증상)의 정도와 환자의 어지럼증 정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0016489.2022.2138968

 

2022/11/11

튀르키예의 의료진이 메니에르 환자의 인지능력을 테스트하고 건강한 집단과 비교해보았습니다. 정신과 혹은 신경과 적인 문제가 없는 메니에르 환자를 골라 건강한 집단과 비교하였고, 그결과 메니에르 환자 집단은 시각 및 청각 기억력, 인지능력, 산수력, 집중력 등 모든 면에서 건강한 집단보다 낮았습니다. 아놔 아픈 것도 서러운데. 또한 교육 정도 및 우울증 정도에 따라서 그 차이는 더 벌어진다고 합니다.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13548506.2022.2144637

 

2022/11/07

스페인의 연구진이 메니에르 환자의 피를 뽑아서 싱글셀 시퀀싱 분석을 했습니다. 싱글셀 시퀀싱 분석이란, 샘플 내의 (이 경우는 혈액) 세포 각각 하나하나 마다 어떤 유전자가 얼마나 발현되는지 알아보는 기술입니다. 그렇게 각각의 세포 속의 유전자 발현을 알아보니, 메니에르 환자 중에서 알러지 환자의 염증 반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개개인에 맞춘 면역 치료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https://europepmc.org/article/ppr/ppr568348

 

2022/11/4

브라질에서 베타히스틴을 이명치료에 사용한 결과를 논문으로 출판하였습니다. 베타히스틴은 메니에르병 치료에 주로 쓰이는 현기증 및 어지럼증을 완화시켜주는 약물로, 메네스정, 메네스에스정, 유턴정, 뷰티펙스정 등의 제품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총 62명의 이명환자가 참여한 실험에서, 난청의 정도가 심하거나 우울증 및 신경성 질병의 정도가 심한 환자들은 제외되었습니다. 실험군의 중간 나이는 54세였으며 62명을 반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베타히스틴 24mg을 90일간 매일 두번씩 투여하였습니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보니, 플라시보 그룹과 베타히스틴을 먹은 그룹에서 이명의 정도 차이는 미미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명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던 베타히스틴은 실제로 실험에서 이명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coa.13999

 

2022/11/3

한림대에서 이명환자에게 소리치료를 6개월간 한 후에 그 효과를 정리한 논문입니다. 이명에 대한 소리치료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되어있는 한글 논문이므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www.e-asr.org/upload/pdf/asr-220071.pdf

 

2022/10/31

중국 허베이 한의학 대학교에서 메니에르병 치료에 쓰이는 침술 및 뜸에 관한 이제까지 나온 논문을 모두 종합하였습니다. 모두 232개의 논문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기술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97개의 경혈이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주요 경락은 두경락 (Governor Vessel), 족양명위경 (Stomach meridian of foot yangming), 손소양삼자오경락 (Trienergizer meridian of hand shaoyang), 족소양담남경락 (Gallbladder meridian of foot shaoyang) 등이었습니다. 가장 자주 이용된 경혈 조합으로는 GB20+GV20 및 GV20+PC6 이었습니다 (사진 참조).

또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3개의 핵심 경혈군을 도출함으로써 메니에르 치료에 이용되는 침술과 뜸은 일정한 특징이 있음을 밝혀내었습니다. 우리나라 한의학도 이렇게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효과적인 치료법 및 경혈을 파악하고 기록으로 남겨두면 참 좋겠습니다.

https://europepmc.org/article/med/36301171

 

2022/10/04

지난 주에 Scientific Reports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메니에르병은 그 기작과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계가 있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 논문은 그 관계성에 관하여 연구를 해보았습니다. 메니에르병을 확진받은 38명의 환자와 39명의 건강한 지원자의 혈액을 비교하여, 자가면역질환 진단에 쓰이는 여러 호르몬 및 단백질의 수치를 조사하였습니다. 자가면역질환 또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혈액 속의 백혈구, 특히 T세포와 B세포가 활성화되어 자신의 장기를 공격하는 심각한 병입니다. 이 과정에서 TNFa, IL-1b, IL-6 등의 사이토카인이 관련되어 있는데, 혈액 속의 사이토카인 수치를 검사해본 결과 메니에르병 환자 그룹에서 G-CSF, MIP1a, IL8, HGF, CTACK 등의 단백질 수치가 모두 현저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 중 G-CSF, IL8, HGF는 대식세포 및 림프구에 영향을 미쳐서 메니에르병의 자가면역 및 염증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걸로 보입니다. 이 연구로 혈액을 통한 메니에르병의 정확한 진단과 메니에르병 증상 발현의 원인에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2-20774-8

 
 
 
 
 

여기서부터는 지난 포스트에 이미 적은 글입니다.


 

2022/09/26

이탈리아에서 새로운 내림프관 감압술 (end-lymphatic duct and sac decompression; DASD)을 개발하여 시행한 결과가 논문으로 나왔습니다. 기존의 내림프낭 감압술에서 어려운 점을 개선하고, 메니에르 어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내림프 압력을 낮추는 데에 내림프낭 뿐만 아니라 내림프관도 역할을 하는 것에 주목하여서 내림프낭과 내림프관을 동시에 처치하는 수술법을 개발하였습니다. 82명의 환자에게 시술하였고, 시술 14개월 후에 환자들의 상태를 조사하여 보고하였습니다. 환자들 대부분이 어지럼증이 개선되었고, 귀먹먹과 이명 또한 많이 나아졌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82명 중 누구도 청력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수술 과정은 아래의 논문에 나와있습니다.

https://surgicalneurologyint.com/wp-content/uploads/2022/09/11873/SNI-13-418.pdf

중국에서 덱사메타손 고막 주사로 메니에르를 치료한 결과를 보고한 논문입니다. 환자 124명 중에 절반은 덱사메타손 처방, 나머지 절반은 단순한 마취약만 고막주사로 처방해었습니다. 덱사메타손 고막주사를 맞은 그룹은 또한 고용량(5mg/ml) 과 저용량(2mg/ml)그룹으로 나뉘었는데, 두 그룹 모두에서 절반이상(65%)이 어지럼증이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마취약 그룹의 55%도 고막주사 이후 어지럼증이 나아졌다고 하니 효과는 있지만 모두에게 효과가 탁월한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고용량 주사를 맞은 그룹에서는 고막 천공 환자가 3명 나온 반면에, 저용량 그룹에서는 고막 천공이 아무도 없었다고 하니, 논문에서는 저용량도 어지럼증에 효과는 있으면서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었습니다.

https://journals.sagepub.com/doi/pdf/10.1177/01455613221120729

2022/09/23

지난 주에 발표된 논문입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메니에르병 환자를 조사했는데, 편측성 메니에르 환자의 79%가 왼쪽 귀에 증상이 있으며, 양측성 메니에르 환자의 94%가 오른쪽보다 왼쪽 귀에 증상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메니에르병은 증상이 비대칭으로 발현되는 것이 특징이며,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일어나는 성비율의 불균형과 함께 병리학적으로 불균형한 부분에서 그 원인을 찾아나갈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https://doi.org/10.1080/14992027.2022.2120553

2022/09/12

지난주에 호주의 시드니 대학교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입니다.

나노파티클이라고 하는 아주 미세한 입자로 메니에르병의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하여 리뷰했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49963422000855

2022/09/02

연세대의대 이비인후과에서 8월 21일에 나온 논문입니다. 화학적 미로 절제술에서 덱사메타손을 병용하여 청력이 보존되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화학적 미로 절제술은 난치성 어지럼증이 약물로 전혀 나아지지 않는 메니에르병 환자에게 수행하는 외과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 외과적 방법에는 첫째 겐타마이신을 고막 절개술을 통해 중이에 직접 주사하는 것과 둘째 아미노글리코사이드를 사용해서 전정 유모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청력 손실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젠타마이신은 청력세포와 전정세포 모두를 제거하여서 청력 손실이 큰 부작용으로 남습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요법을 사용한 환자 또한 고주파에서 청력이 손실되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2015년에서 2020년까지 모두 37명의 환자가 화학적 미로 절제술을 받았고 이들은 모두 이뇨제와 저염식, 그리고 베타히스티딘의 복용을 3개월 이상 하였지만 전혀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환자들이었습니다. 또한 반복된 고막주사로도 현기증 및 어택의 빈도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37명의 환자 중 절반인 18명은 덱사메타손을 병용한 절제술을 시행하고 대조군인 19명의 환자는 식염수를 병용한 절제술을 시행하였습니다.

A는 덱사메타손 사용 그룹 B는 사용하지 않은 그룹이며, 까만 동그라미는 이전 청력, 빈 동그라미는 수술 이후 청력입니다. 젠타마이신과 덱사메타손을 병용한 화학적 미로절제술은 젠타마이신과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고주파에서 상대적으로 청력을 보존한다고 합니다. 이전 논문에 따르면 덱사메타손은 젠타마이신으로부터 유발된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즉, 젠타마이신이 어떻게 유모세포를 파괴하여 청력에 손상을 입히는 지 정확한 기전은 나오지 않았지만, 덱사메타손이 어느정도 그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링크에서는 논문 원본과 미로절제술 수술 영상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jorl.org/journal/view.php?number=8536

 

2022/8/6

이번 주에 이란에서 나온 논문입니다. 이석증 환자와 메니에르 환자에게서 일어나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조사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메니에르병의 발병이 심리적인 원인에 있을 수도 있다고 제시하였으며, 특히 스트레스가 주 원인이라고 합니다. 그 증거로 메니에르병의 주된 증상 모두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서, 본 논문에서는 메니에르병 환자 중에 정신신체질환인 우울증과 불안증이 얼마나 있는지 조사하였고, 이걸 증상이 비슷하지만 생리학적인 원인을 가진 이석증과 비교하였습니다. 메니에르병 환자, 이석증 환자, 그리고 건강한 비교군 세 그룹 모두 조사인원은 각각 59명이었습니다.

메니에르 환자, 이석증 환자, 그리고 건강한 대조군의 평균 불안증 점수는 각각 25점, 13점, 7점으로 메니에르 환자가 가장 불안증이 높았습니다. 그리고 평균 우울증 점수도 메니에르 환자가 11.25, 이석증 환자가 7.03, 그리고 건강한 대조군이 2.39로 메니에르 환자가 가장 높은 불안증 점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지럼증을 겪는 환자의 80%가 정신학적인 문제도 겪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우울증과 불안증은 감정에 영향을 많이 미쳐서 어지럼증을 더 악화시키기 쉽다고 합니다. 메니에르 병은 그 기전과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아서 치료법도 확실하게 결정된 것이 없습니다. 이러한 점은 환자들에게 더욱 불안과 의심을 일으키는 계기가 됩니다. 이번 조사로 메니에르 환자와 이석증 환자 모두 불안증과 우울증이 심한 상태이지만, 특히 메니에르 환자에게서 더욱 심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정신의학적인 치료법으로 접근을 하는 건 어떤지 제안하고 있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96070922001922

2022/5/7

어젯 밤에 바이오 알카이브에 올라온 논문입니다. 장내 미생물은 건강 상태 및 다양한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스트레스나 우울증 같은 증상도 장내 미생물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이에 착안하여 일본의 한 연구진이 메니에르 환자의 장내 미생물을 조사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메니에르병을 오래 앓았던 사람일 수록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심각하게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또한, 조사한 10명의 메니에르 환자 모두가 장 보호를 해주는 중요한 유익균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라는 미생물이 없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연구진은 장내 미생물도 메니에르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결론내렸습니다.

https://www.biorxiv.org/content/10.1101/2022.05.06.490877v1?ct=

2022/3/28

지난주에 뉴욕 아인슈타인 의대 이비인후과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메니에르병의 치료 및 관리에 저염식과 이뇨제가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는 의견이 여러가지인데요. 이 논문에서는 염분 섭취 후에 몸 속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에 관하여 연구하였습니다.

메니에르 환자에게 이뇨제를 처방하는 것은 확실히 어지럼 어택의 빈도와 정도를 줄여주지만, 청력 손실에는 이뇨제가 효과가 있는 환자도 아예 없는 환자도 있으며, 메니에르 병 자체의 진행을 늦춰주진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염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달팽이관의 나트륨-칼륨-펌프의 활동에 지장을 줘서 내림프종의 크기 자체를 줄이거나 내림프압을 높인다는 것은 마우스 실험으로 증명되었습니다. 또한 스테로이드는 나트륨의 흡수를 촉진시키고 이 나트륨-칼륨-펌프를 활정화 시켜서 메니에르 병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염분이 많이 포함된 고염식은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는데 그 중에 자가면역질환도 포함됩니다. 고염식은 자가면역질환의 증세를 악화시키며, 과도한 염분은 몸 속의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쳐서 각종 면역 관련 세포의 활동에 크게 지장을 줍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14명의 메니에르 환자에게 염분을 섭취시킨 뒤 혈액 내의 면역 반응을 관찰하여 건강한 사람들의 반응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저염 섭취 시에는 건강한 사람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30mM 이상의 염분, 특히 80mM의 고염 섭취시에는 건강한 환자에 비해 수배에서 수십배에 달하는 면역 반응이 체내에서 급격하게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반응은 염화나트륨(NaCl)을 섭취할 때만 나타났었고 소금 대체제로 간혹 쓰이는 염화칼륨(KCl)을 섭취 시에는 관찰할 수 없었습니다. 연구자들은 다이크로짇정으로 알려진 이뇨제(hydrochlorothiazise)와 고염을 같이 섭취하는 실험도 했는데,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확연히 염분으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이 논문은 메니에르 환자에게서 염분 섭취와 면역반응을 관찰한 최초의 논문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많이 일어나길 바랍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2-08967-7

2022/2/23

2022년 2월 18일에 대만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메니에르병 환자 중에는 불면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거기에 관한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나왔습니다. 메니에르 환자 30명에서는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의 발현 패턴이 건강한 대조군 30명에 비해 다르게 나타났는데요. 이 특히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 중의 하나인 PER1 유전자는 메니에르병 환자에서 3배나 낮게 발현되었고, 난청이 있는 환자일 수록 더 발현량이 낮게 나왔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본 연구에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고, 메니에르병 및 난청 정도와 생체시계 유전자와의 상관관계만을 연구하였는데요. 이 결과는 두가지 가능성을 의미하는데, 1) 평소의 불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유전자에 영향을 주고 메니에르병을 발병시키며 난청을 일으킬 수도 있고 아니면 2) 메니에르병에 걸려서 생체시계에 영향을 줘서 그 결과 불면증이 생길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규칙적인 수면은 아주 중요한 것 같습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lio2.757

2021/12/28

크리스마스 이브에 나온 논문입니다. 편두통은 전체 인구의 15.3%가 가져있는 병으로, 메니에르 환자의 43-56%까지 편두통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메니에르병과 편두통의 상관관계가 있음에도, 편두통을 동반한 환자와 편두통이 없는 메니에르 환자는 치료법이 다른지 같은지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의 한 병원에서 1987년에서 2019년 까지 내림프낭 수술을 받은 메니에르 환자 76명의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모든 환자는 기본의 약물 및 식단 치료에 효과가 없어서 수술을 선택하였으며, 편두통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의 두 집단으로 나누었습니다.

평균 연령: 편두통 그룹 = 36.6세, 편두통 없는 그룹 = 50.8세

정신과 상담 치료: 편두통 그룹 = 64.29%, 편두통 없는 그룹 = 25.8%

첫 확진부터 수술까지 걸린 시간: 편두통 그룹 = 47.4개월, 편두통 없는 그룹 = 52개월

편두통 그룹에는 여성이 더 많았으며, 편두통 없는 그룹에는 남녀의 비율이 같았습니다.

종합적인 수술의 효과는

어택의 빈도: 수술 전=한달에 16회, 수술 후=한달에 2.4회

일상생활에 영향 점수(FLS score, 1-6으로 1은 일상생활에 지장 전혀 없음, 6은 일상생활 전혀 못함): 수술 전=4.2, 수술 후=2.8

수술 후 추적 관찰한 48명 중 5명은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서 치료를 계속하였습니다.

수술 전과 수술 후에 언어 인지 능력 및 청력은 변화가 거의 없었습니다.

내림프낭 수술은 신경절제술, 달팽이관제거, 젠타마이신 주사 등의 다른 침습적인 수술과 비교해보았을 때, 청력의 손실이 없고, 전정기관의 영구 손실을 막는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젠타마이신 주사처럼 간단한 시술은 아니라서 청각 신경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동반합니다. 이번 환자 조사에서 거의 80%의 환자가 수술 후 증상 호전 효과를 보았습니다. 이 호전 효과는 편두통의 동반 유무와 관계없이 나타난 것으로 내림프낭 수술에서는 적어도 편두통과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사람들이 효과를 본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https://www.hindawi.com/journals/ijoto/2021/7987851/

2021/11/4

10월 21일에 나온 메니에르 관련 논문입니다. 한림의대 최효근 교수님 연구실에서 천식과 메니에르병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한국 의료보험 공단의 자료를 조사한 결과, 2002년에서 2015년까지 40세 이상의 메니에르 환자는 7,734명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기존에 천식을 앓고 있었던 메니에르병 환자의 수는 대조군에 비해 1.3배 더 많았으며,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 천식 둘다 메니에르병과 관련이 있는 걸로 밝혀졌습니다. 정확한 기작은 논문에서 밝히지 못했지만, 앞으로 천식을 치료할 때에 메니에르병 발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2021/9/21

지난 주에 나온 메니에르 관련 논문입니다. 연구 논문이라기보다 이러한 시술을 해서 보고한다는 보고서의 개념인데, 순천향의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의 이종대 교수님 연구실에서 발표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법이 전혀 효과가 없는 56세 남자 메니에르 환자에게 기존에 뼈를 뚫어서 하는 시술법이 아닌 transcanal endoscopic ear surgery (TEES)라는 고막안으로 내시경을 넣어서 림프액을 배출하고 귀안의 등골을 제거하는 시술을 했습니다. 수술 후 2년간 관찰 결과 어지럼증은 완전히 없어졌다고 합니다. 기존의 시술법보다는 손상을 덜 주는 시술법이지만, 메니에르로 청력을 완전히 잃은 경우이거나 치료가 전혀 안되는 경우에 쓸 수 있도록 득실을 잘 따져서 추천한다고 합니다.

https://oce.ovid.com/article/00129492-900000000-95519/HTML

2021/8/16

지난 주에 출판된 메니에르병 관련 논문입니다.

중국의 의료진이 시클로포스파미드라는 항암제/면역억제제를 기니피그에 투여하여 메니에르병의 진행이 멈춘 것을 관찰하고 논문으로 출판했습니다.

https://www.spandidos-publications.com/10.3892/etm.2021.10611

또한 중국의 또다른 의료진은 속귀 MRI에 촬영된 달팽이관을 3D로 분석하여 내림프수종의 정도를 수치화해, 청력 테스트, 칼로릭 테스트, 전정기관 테스트 등의 자료를 종합하여 메니에르병의 진행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coa.13847

2021/7/23

이번 주에 출판된 메니에르 병 관련 논문입니다.

중국의 의료진이 MRI 분석 기술에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메니에르 병 진단의 정확도를 많이 높혔다고 합니다. 연구진은 메니에르병 환자의 속귀 MRI로 모델을 학습시켜서 통계학적인 모델을 완성하고, 이를 테스트한 결과, 속귀의 MRI 사진 만으로 25초 안에 96%의 정확도로 메니에르병을 진단하였다고 합니다. 메니에르병의 발병과 그 어택의 트리거가 병리학적으로 확실치 않아서, 증상만으로 전문의의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알고리즘이 더욱 발전하여서 영상진단만으로 메니에르병의 유무를 확진할 수 있는 날이 오는 데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는 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https://www.hindawi.com/journals/cmmi/2021/2329313/

2021/6/29

지난 주에 나온 메니에르 병에 관한 새 논문입니다.

서울대 의대 연구진이 메니에르병과 대기오염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나왔습니다. 메니에르 병 환자의 병원 방문일과 대기오염의 상관괸계를 조사한 결과,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미세먼지(PM10) 등의 오염물질이 높은 일자 직후에 메니에르 병 환자의 병원 방문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반면에 오존 농도 및 미세먼지(PM2.5)의 관계는 적었습니다. 또한, 여성일 경우, 40세에서 64세 사이일 경우, 그리고 여름일 경우에 대기오염의 영향을 더 심하게 받는다고 합니다. 이 논문은 각 환경인자의 상관관계만 조사했을 뿐, 어떤 원리로 관계가 있는지의 이유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1-92355-0

지난 주에 올라온 메니에르병에 관한 새로운 논문입니다.

이란의 과학자들은 모세혈관 생성 및 재생에 관여하는 VEGFA 유전자와 메니에르병의 상관 관계 조사해 본 결과. VEGFA 유전자의 특정한 돌연변이가 메니에르 환자에서 훨씬 더 많이 발견되는 것을 보고하였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52014421002296#!

2021/6/21

이번 주에 새로 나온 메니에르병 관련 논문입니다.

Silverstein MicroWick이라는 장치를 이용해 고막을 관통하여 약물을 속귀로 직접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2017년에서 2020년까지의 임상 데이터가 미국에서 보고되었습니다. 34명의 환자 집단에서 50%는 이명에 효과가 있었고 59%는 귀 먹먹함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79%는 어지럼증이 개선되었고, 21%는 청력 손상이 줄어들었다고 보고했습니다.

https://doi.org/10.1016/j.amjoto.2021.103138

스테로이드 고막 주사의 효과에 관한 논문이 또 나왔습니다. 일본에서 32명의 환자 중 56%인 18명이 1회의 주사 이후에 어지럼증에 개선이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효과를 보인 18명의 환자의 절반 이상이 속귀 압력 치료에 저음 청력에 관한 개선도 보였다고 보고했습니다.

https://doi.org/10.1016/j.amjoto.2021.103141

 

728x90
반응형
Posted by Gun들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