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막재건술은 고막에 구멍이 뚫리는 천공이 생겼거나 고막에 손상이 있을 때에 시행하는 수술로써, 그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손상된 고막 위에 아주 얇은 종이를 얹어서 고막의 자연 재생을 도와주지만 자연 재생이 불가한 손상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인공진피, 환자의 근막, 혹은 연골막 등을 사용하여 이식하기도 합니다. 고실성형술이라고도 불립니다.
수술 자체는 성공률이 높지만, 그래도 이식이 실패하여 천공이 재발하거나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재수술도 그리 드물지 않은 수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고막 재건술 후에 재수술을 시행한 것과 관련된 비교적 최근 사례와 논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정기적으로 내킬 때에 업데이트 될 수 있습니다. 논문을 옮긴 글이라 부득이하게도 전문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튀르키예에서 고막성형술이 실패한 환자 17명에 대해 재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재수술의 경우 난이도가 첫 수술보다는 높아지는데요. 재수술에 사용되는 이식재료는 특히나 튼튼해야하기 때문에 주로 환자의 연골막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의료진은 이식 방법 중의 하나인 butterfly inlay myringoplasty를 시행하였으며 17명 모두 이식이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405-021-06669-w
미국에서 고막재건술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 95명을 조사하였습니다. 재수술 환자는 모두 첫수술에서 꼭지돌기 절제술(mastroidectomy)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환자의 연골막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95명의 환자 중 90명이 고막의 재생에 성공하였으며, 논문에서는 중이에 염증이나 이상이 있지 않은 경우에 꼭지돌기 절제술은 굳이 필요없을 것 같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고막재건술에는 다양한 이식재료가 쓰입니다. 이식재료에 따른 성공과 실패 사례를 조사한 리뷰 논문입니다.
- 이식 재료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환자에게서 채취한 근막이라고 합니다. 수술 부위랑 가까우며 채취가 용이합니다. 반면에 재수술의 경우에는 연골막을 주로 쓰는데, 연골막이 더 튼튼하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이지만 청각 회복에는 논란이 있다고 합니다.
- 수술 후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고 건조한 상태를 3개월 이상 유지하면 성공률이 크게 높아진다고 합니다.
- 한 논문에 따르면 천공이 고막 중앙에 나있는 경우에 수술 성공률이 높다고 합니다.
- 고막에 염증이 없는 경우 더 재건술의 성공률이 높다고 합니다.
- 다른 논문에서는 고막 이식 재료로 연골막을 쓰는 경우 근막을 쓸 때보다 성공률이 높은 반면에 청력 회복에는 두 재료 간에 별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 수술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채취한 이식 재료의 섬유질이 고르지 못한 것이 가장 크다고 합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672293019301370
인도에서 최신 수술 방법인 고막 주변을 따라 둥글게 이식하는 Circumferential Subannular Tympanoplasty 기술을 시도하여서 그 경과를 보고 했습니다. 총 81명에게 수술한 결과 97.5%인 79명의 고막이 성공적으로 재건되었으며, 특히 전방 천공 환자의 경우에는 100%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합니다. 수술 후 환자의 청력도 평균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96070920304221?via%3Dihub
위에서 다룬 Circumferential Subannular Tympanoplasty 기술을 좀더 많은 환자에게 시행하여 그 결과를 종합한 논문입니다. 모두 224명의 환자에게 시행한 수술은1년 후 경과 관찰을 해보니 95.1%인 213명이 성공적이었으며 청력회복도 평균 42데시벨에서 30데시벨로 좋아졌다고 합니다.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0016489.2022.2042596
고막재건술은 어린이에게도 시행되지만 그 과정이 복잡하며 어린이의 성장에 따라서 재발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뉴욕에서 50명의 어린이 환자에게 고막재건술을 시행했는데 고막이 덮이지 않은 경우는 10%, 고막 천공이 재발한 경우는 20%, 수술 후 염증이 생긴 환자는 18%, 그리고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16%였다고 합니다.
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0003489419862575
고막재건술의 이식 재료로써 콜라겐을 쓰기도 하는데요. 콜라겐을 썼을 경우보다 연골막과 연골을 섞어서 이식하는 경우가 성공률이 7.5배 높았다고 합니다.
고막재생술에는 고막 위쪽을 덮는 overlay와 아래쪽을 덮는 underlay 기술이 있다고 합니다. 연구진들이 200명의 환자를 조사한 결과 overlay 기술은 성공률이 100%, underlay는 95% 였으며, 성인 환자의 성공률은 아동 환자보다 높았습니다 (97.5% vs. 92.25%). 또한, 연골을 이식하는 경우가 근막을 이식하는 경우보다 성공률이 다소 높았습니다 (98.6% vs. 94.9%).
한국에서도 고막재건술에 관한 논문이 나왔습니다. 모두 376명의 고막재건술을 시행한 한국 환자를 조사했습니다. 청력의 경우에 수술 6개월 후에 평균17.8데시벨에서 9.8로 낮아졌습니다. 고막재건술의 성공률은 다른 논문에 비해 다소 낮았는데요. 수술 6개월 후 이식 실패의 비율이 첫 수술과 재수술 모두 다 13% 정도였습니다. 특히 고막 천공의 사이즈가 커질 수록 수술 성공률도 확연히 낮아졌다고 합니다.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lio2.961
이란에서 고막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240명을 조사하여 첫수술과 재수술의 경과를 비교했습니다. 첫수술의 이식 성공률은 96.6% 인 것에 비해 재수술의 이식 성공률은 78.2%로 현저히 낮았습니다. 청력의 회복 정도는 첫수술과 재수술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68984/
고위험군이나 증상이 복잡한 환자의 경우에 시행할 수 있는 삼중 고막재건술을 소개하고 그 경과를 보고한 논문입니다. 연골에서 채취한 재료를 세겹으로 겹쳐서 이식한 수술인데요. 기존에 중이염을 만성적으로 앓거나 고막 천공이 아주 커서 고막이 거의 없어진 경우 등 어려운 환자들에게 이 기법을 적용한 결과 평균적으로 93.4%의 높은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특히, 고막이 거의 없어진 경우에는 100%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합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64813/
제주 의대에서 고막재건술의 두가지 방법 성공률을 비교했습니다. 기존의 underlay 이식술의 경우 환자 13명 중 23.1%인 3명에게 고막 천공이 다시 생겼으며, 그 중 한명은 심각한 염증이 생겼다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인 butterfly inlay 연골 이식은 22명의 환자 중 8.7%인 2명에게 재천공이 생겼으며 그중 한명은 고막이 과립화(granulation)되었다고 합니다. 이 새로운 기술은 기존 기술보다 훨씬 간편하고 빠른 반면에 성공률은 기존의 기술과 크게 차이가 없어서 논문에서는 추천하고 있습니다.
https://www.aurisnasuslarynx.com/article/S0385-8146(18)30306-7/fulltext
'메니에르 병 Meniere's dise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발성 난청 및 이석증 최신 논문 정리 2023/5 ~ 2024/1 (1) | 2024.01.24 |
---|---|
메니에르병 최신 논문 정리 - 23년 5월 ~ 12월 (0) | 2024.01.12 |
이명 및 난청에 관한 최신 논문 정리 - 2023년 4월 (1) | 2023.04.16 |
메니에르병 관련 최신 논문 요약 및 정리 - 2023년 4월 (4) | 2023.04.15 |
[최신 논문] 귀 건강과 웨이트 트레이닝 (0) | 2023.03.12 |